[지구촌 오늘] 중국 저비용 인공지능 ‘DeepSeek’ 출시…미 신임 국방장관 첫 출근 “미군에 더 많은 변화 있을 것”


진행자)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소식을 전해 드리는 ‘지구촌 오늘’입니다. 지금 이 시각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기자) 네. 안녕하십니까?

진행자) 오늘은 어떤 소식이 있습니까?

기자) 중국의 저비용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 ‘딥시크(DeepSeek)’ 등장에 전 세계 이목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가 미국 산업에 경종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신임 미 국방장관이 출근 첫날, 미국 군대에 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스콧 베센트 지명자도 상원의 공식 인준을 받으며 트럼프 2기 정부에 승선했습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첫 소식입니다. 중국의 저비용 인공지능(AI) ‘딥시크’가 최근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에 관해 언급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딥시크가 미국 산업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27일, 플로리다주에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골프 클럽에서 공화당 연방 하원의원 콘퍼런스가 열렸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관세와 국경 보안 등 향후 정책 방향에 관해 연설하면서 중국이 최근 출시한 ‘딥시크’에도 주목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어떤 이야기를 했습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딥시크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그것이 정말 사실이라면 긍정적인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야기 직접 들어 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Today and over the last couple of days, I’ve been reading about China and some of the companies in China, one in particular coming up with a faster method of A.I. and much less expensive method. And that’s good because you don’t have to spend this much money. I view that as a positive, as an asset.”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콘퍼런스에 참석한 공화당 하원의원들에게 “오늘, 그리고 지난 며칠 동안, 중국과 중국의 몇몇 회사들에 관해 읽었는데, 특히 한 회사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한 방법으로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내놨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렇게 많은 돈을 들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좋은 일이라면서 자신은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은 딥시크 개발에 적은 비용이 들었다는 데 특히 주목하고 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과학자들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대신 적은 비용으로 미국도 같은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이야기 더 들어 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The release of DeepSeek A.I. from a Chinese company should be a wake up call for our industries that we need to be laser focused on competing to win, because we have the greatest scientists in the world, even Chinese leadership told me that.”

기자) 중국 회사에서 딥시크 AI를 출시한 것이 미국 산업에 경종을 울리는 일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초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는데요. 그러면서 미국에는 최고의 과학자들이 있고, 심지어 중국 지도부도 자신에게 그렇게 말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딥시크’가 뭐길래 이렇게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전 세계가 주목하는 건가요?

기자) 딥시크는 생성형 인공지능(AI)입니다. 쉽게 말해 질문에 답하는 대화형 AI 챗봇입니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는 최근 ‘딥시크-R1’이라는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LLM) AI를 출시했는데요. 성능은 AI 선두 주자로 꼽히는 ‘오픈AI’나 구글, 메타 등 미국 기업들이 만든 챗봇과 거의 비슷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 리소스를 훨씬 적게 사용하고, 비용도 훨씬 적게 들었다고 하는데요. 딥시크를 지원하는 항저우에 본사를 둔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High Flyer)’에 따르면 딥시크는 엔비디아가 제조한 구형 컴퓨터 칩 약 2천 개만 사용하고, 학습 훈련 비용도 약 600만 달러에 불과합니다. 참고로 메타의 AI 시스템인 라마(Llama)의 경우, 약 1만6천 개의 칩을 사용하고, 비용도 훨씬 더 들었다고 합니다.

진행자) 딥시크 출시에 반응이 열광적이라고요?

기자) 네. 딥시크는 지난주 처음 무료로 출시됐는데요. 일주일 만에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내려받기)하는 앱이 됐습니다. 월가에 AI 열풍을 일으켰던 챗GPT 앱도 추월한 건데요. 딥시크 소식에 27일 미국의 증권가가 크게 출렁거렸습니다. 기술 중심 나스닥 지수는 3.1% 하락했고요. 엔비디아 주가는 거의 17% 폭락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딥시크 측은 27일, ‘대규모 악성 공격’ 때문에 신규 가입을 일시 제한한다고 밝혔는데요. 일부 전문가는 시장의 과잉 반응을 경계했습니다.

진행자) 딥시크 출시에 대한 시장 반응이 과도하다는 지적인가요?

기자) 네. 영국 AI 기업 ‘코포라AI(Corpora.ai.)의 멜 모리스 최고경영자는 VOA에 딥시크가 인상적인 기술이긴 하지만, 딥시크가 AI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하려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미국 랜드연구소의 레나트 하임 연구원은 ‘하이플라이어’가 밝힌 600만 달러 훈련 비용과 2천 개 칩으로 개발됐다는 주장에 의구심을 제기했습니다. 또 딥시크가 출시된 시점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인 20일인 점을 들어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견해도 피력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두 번째 임기에 취임하면서 수십 개 행정명령에 서명했는데요. 그 가운데 인공지능 관련 행정명령도 있었죠?

기자) 맞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에 도입한 인공지능(AI) 행정명령을 폐기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폐기된 행정명령에는 AI 모델의 결함과 편향성 점검에 관한 지침 마련, 상용화 전 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정부에 보고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는데요. 업계는 과도한 규제라고 반발해 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콘퍼런스에 모인 공화당 하원의원들에게 자신이 바이든 정부의 파괴적인 인공지능 규제를 철회했다면서, 이로써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들은 다시 한번 최고가 되는데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습니다.


2025년 1월 27일 피트 헤그세스 신임 미 국방장관이 국방부 청사인 펜타곤에 도착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다음 소식입니다. 미국 신임 국방장관이 미군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신임 국방장관이 27일 워싱턴 D.C. 인근, 알링턴에 있는 국방부로 처음 출근했는데요. 헤그세스 장관은 청사에 들어서기에 앞서 기자들에게 미국 군대에 더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국방장관으로 일하는 것은 평생의 영광이라면서, 국방부가 더 빠른 속도로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헤그세스 장관이 말하는 변화에, 어떤 것이 있을까요?

기자) 헤그세스 장관은 이스라엘의 ‘아이언돔’ 같은 미국식 방공시스템 구축과 국방부 내 모든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 철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거부한 후 군에서 전역한 군인들의 복귀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헤그세스 장관에게 성전환 군인들에 대한 국방부 정책을 개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을 비롯해 아이언돔 구축과 백신 거부 전역자들의 복귀에 관한 행정명령 등에 서명했습니다.

진행자)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상원의 인준을 받기까지 적지 않은 진통도 있었죠?

기자) 네. 헤그세스 장관은 미국 ‘폭스뉴스’ 진행자 출신인데요. 육군 소령 출신으로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해 훈장을 받기도 했지만, 전문성 부족 논란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과거 성 추문 사건으로 자질 논란도 불거졌는데요. 지난 24일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표결에서 50대 50 찬반 동표가 나왔습니다. 민주당 의원 전원이 반대표를 던졌고, 같은 공화당 소속 의원 3명도 여기에 동참했던 건데요. 하지만, J.D. 밴스 부통령이 상원의장으로서 결정표를 행사해 간신히 인준안이 통과됐습니다.

진행자) 그런가 하면, 상원에서 재무부 장관 지명자의 인준 표결도 있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기 정부 재무장관으로 낙점한 스콧 베센트 지명자가 27일 상원 인준을 통과했습니다. 상원은 베센트 지명자 인준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68표, 반대 29표로 가결했습니다. 민주당 쪽에서는 16명이 인준에 찬성표를 던졌고요. 의원 3명은 투표하지 않았습니다. 베센트 지명자는 27일 재무장관으로 취임했습니다.

진행자) 트럼프 2기 정부의 경제를 총괄하게 된 베센트 재무장관, 어떤 인물인가요?

기자) 올해 62세인 베센트 장관은 헤지펀드 ‘키스퀘어 그룹’ 창업자입니다. 미국 납세자들에 대한 세금을 줄이고, 관세를 외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해결하고 연방 정부 수입을 늘릴 협상 수단으로 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강력히 옹호하는데요. 베센트 장관은 앞서 인준 청문회에서 올해 말로 만료되는 감세안을 연장하지 않으면, 미국 중산층에 재앙이 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공약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는데요. 많은 공화당 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으로 미국의 국가부채가 4조6천억 달러 규모로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지금까지 상원의 인준을 통과한 인사는 몇 명이나 되나요?

기자) 베센트 신임 재무장관을 포함해 5명입니다.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시작으로 존 랫클리프 중앙정보국(CIA) 국장,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이 상원의 인준을 통과했습니다. 베센트 장관 인준이 마무리됨에 따라 이제 상원은 숀 더피 교통부 장관 지명자에 대한 인준에 초점을 맞출 예정인데요. 더피 지명자는 앞서 상원 상무∙과학∙교통위원회에서 28-0의 지지를 받아 쉽게 상원 인준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행자) 지구촌 오늘 마칩니다.

Adblock test (Why?)

Read Previous

아하! 이슬람 Ep.8 이슬람의 구원론 < 선교 < 콘텐츠 < 기사본문

Read Next

국회의원 설날 떡값 425만원…허탈한 서민들|동아일보

Don`t cop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