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중국 ‘섬광탄’ 발사에 “위험한 행동…대북결의 수호에 전념”


중국 전투기가 대북제재 감시 활동을 벌이던 호주 헬기를 위협한 사건에 대해 미국 정부가 위험한 행동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동맹인 호주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 이행 의지도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는 13일 ‘대북제재 감시활동 중이던 호주 헬기를 향한 중국 전투기의 섬광탄 발사 위협’에 대해 “우리는 이러한 행동이 위험하고 안정을 해친다는 점을 매우 분명히 해왔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 “We’ve been very clear that these actions are dangerous and destabilizing. We’ll continue to stand with our ally Australia. The United States is committed to upholding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related to the DPRK and maintaining deterrence, pea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 and we’re equally committed to doing so alongside our Allies and partners.”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VOA의 관련 논평 요청에 이같이 밝히고, “우리는 계속 동맹국인 호주와 함께할 것”이라며 연대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은 북한과 관련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수호하고 역내 억지력과 평화, 안정을 유지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함께 이를 위해 똑같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4일 중국 전투기가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을 감시하는 호주의 대북 제재 이행 작전 ‘아르고스’에 참여하던 호주 군 헬기에 섬광탄을 발사하며 위협했습니다.

리처드 말스 호주 국방장관은 6일 성명에서 “호주 군 헬기가 섬광탄에 맞았다면 심각한 결과가 초래됐을 것”이라며 “이는 매우 심각한 사건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도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는 비전문적이며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이 사건에 대해 각급에서 중국 정부에 매우 강력하게 항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앨버니지 총리] “We have made very strong representations at every level to China about this incident which we regard a unprofessional and unacceptable.”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오히려 호주를 비난했습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7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호주의 위험한 행동에 대해 엄중한 항의를 표했으며, 호주 정부에 오해와 오판을 피하기 위해 도발과 날조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호주 군이 고위적으로 접근해 중국의 해상 및 항공 안보를 위태롭게 한 데 대한 경고로서 필요한 조치를 취했으며, 관련 작전은 합법적이고 규정을 준수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11월 일본 인근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임무 수행 중이던 호주 해군 함정에 대해 중국 군 함정이 음파 탐지기를 작동시켜 함정을 수리 중이던 호주 군 잠수 요원들 중 1명이 부상당한 사건이 발생한 지 약 6개월 만에 발생했습니다.


지난 2014년 8월 중국 하이난 섬 동부에서 중국의 J-11 전투기가 미 해군 P-8 포세이돈 대잠초계기에 근접 비행을 하고 있다.

앞서 호주와 중국은 지난 2022년 6월에도 중국 군 전투기 편대가 국제 공역에서 정기 감시 임무를 수행하던 호주 군 P-8A ‘포세이돈’ 해상초계기에 근접 비행을 하면서 섬광탄과 레이더 전파 교란 입자 ‘채프’를 발사하는 등 마찰을 빚은 바 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해 채택한 대북 결의 2375호에 따라 석탄과 석유, 해산물 등 북한의 금수 품목의 밀수를 막기 위해 북한 선박과의 선박 간 환적 등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은 안보리 결의 이행을 위해 자국 항공기 또는 함정을 한반도 인근에 파견해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 등에 대한 해상 감시 활동을 벌여왔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

Adblock test (Why?)

Read Previous

“신학은 목회 뒷받침, 목회는 신학 돈독히 해야” : 교계교단 : 종교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Read Next

[단독]美 전문가, “北 방사포 공장은 盧 전 대통령 찾았던 평화자동차”

Don`t cop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