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러 대북 정제유 ‘철도’ 수출 급증에 “북러 관계 심화 극도로 우려”


러시아가 올해 철도를 통해 25만 배럴의 정제유를 북한에 수출했다는 분석이 나온 데 대해 국무부가 북러 협력 심화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제재 등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는 러시아가 올해 선박뿐 아니라 철도를 통해서도 북한에 정제유를 대량 공급한 정황이 포착된 것과 관련해 “러시아가 북한에 석유를 공급했다는 보도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 “We are aware of Russia’s reported supply of oil to the DPRK. Per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397, member states are required to notify the 1718 committee of refined petroleum products supplied to the DPRK.”

국무부 대변인은 13일 미국 민간 분석그룹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가 지난 넉 달 동안 철도를 통해 25만 배럴의 정제유를 북한에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데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이어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북한에 공급되는 정제유 제품을 1718위원회(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러시아가 지난 3월에만 북한에 16만 5천 배럴 이상의 정제유를 공급했다’는 백악관의 최근 발표를 상기시키면서 북러 협력 심화를 비판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 “As the White House has said, Russia delivered more than 165,000 barrels of refined petroleum to DPRK in March alone. Russia has demonstrated an increasing willingness to provide to or accept from the DPRK various forms of support, most vividly illustrated by the DPRK’s supply of munitions and missiles for Russia’s use in its war of aggression against Ukraine. We are extremely concerned about deepening Russia-DPRK ties, and will use all the tools in our toolkit to address this issue, including sanctions.”

“러시아는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북한에 제공하거나 북한으로부터 받으려는 의지를 점점 더 보여왔으며, 이는 북한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 전쟁에 사용할 군수품과 미사일을 제공한 것에서 가장 생생하게 드러났다”는 지적입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러시아와 북한의 관계 심화에 대해 극도로 우려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재를 포함한 모든 가용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뉴욕에 본부를 둔 에너지 분야 민간 평가·분석 기업’ 에너지 인텔리전스(Energy Intelligence)’는 지난 8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러시아 철도 데이터를 분석해 “러시아가 1월부터 4월까지 약 25만 배럴의 휘발유와 경유, 등유 등 경질유 제품을 철도를 통해 북한에 수출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러시아가 4월에만 1만 6천t, 약 12만 5천 배럴의 석유 제품을 북한에 수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러시아가 4월까지 공급한 25만 배럴은 지난 2017년 채택된 안보리 결의 2397호에 따라 유엔이 허용한 북한의 연간 정제유 수입 한도 50만 배럴의 절반에 해당하는 양이며, 4월 한달 동안에만 연간 한도의 약 4분의 1이 철도를 통해 북한으로 넘어간 것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4월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회담 중 사진 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했다.

이에 대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지난 10일 VOA 관련 질의에 즉답을 피한 채 북러 협력에 대한 우려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러시아와 북한 간 무기 및 정제유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든 이들에 대해 제재를 계속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에 정제유를 공급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지속적으로 우려를 나타내 왔습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지난 2일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올해 북한에 제공한 정제유 양이 이미 유엔 안보리가 정한 한도를 넘었다”며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했습니다.

[녹취: 커비 보좌관] ”Russia has been shipping refined petroleum to the DPRK. Russian shipments have already pushed DPRK inputs above mandated by the UNSC. In March alone, Russia shipped more than 165,000 barrels of refined petroleum to the DPRK.”

이어 “지난 3월에만 러시아가 북한에 16만 5천 배럴이 넘는 정제유를 보냈다”며 “러시아와 북한의 상업 항구가 가깝다는 점을 감안할 때 러시아는 이런 수송을 무한정 지속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의 대북 정제유 초과 공급 문제에 정통한 워싱턴의 소식통도 지난 6일 VOA에 “러시아를 포함한 해외로부터의 총 선적량은 유엔이 정한 연간 상한선인 50만 배럴을 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3월에만 북한에 16만 5천 배럴 이상을 선적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러시아의 수출량만으로도 유엔 상한선을 초과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었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

Adblock test (Why?)

Read Previous

“한국 넘어 세계로 선교 열정 확산 기대” < 교계일반 < 교계 < 기사본문

Read Next

[단독] 韓美 참수부대 지휘관 처음 한자리 모인다

Don`t cop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