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퇴직연령 49세인데…노후소득 충당하려 72세까지 일한다


뉴스1

국내 50, 60대의 평균 퇴직연령이 50세에도 미치지 못하는 반면 노동시장에서 실제로 퇴장하는 ‘실질 은퇴나이’는 72세까지 늦춰진 것으로 분석됐다. 임금근로자들이 비자발적으로 조기 퇴직한 뒤 노후소득을 충당하기 위해 70세가 넘어서까지 경제 활동을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55~64세가 ‘주된 일자리’(가장 오랜 기간 종사한 일자리)에서 퇴직한 나이는 평균 49.3세로 집계됐다. 법정 정년인 60세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들의 평균 근속 기간은 12.8년이었다. 퇴직 사유로는 비자발적 조기퇴직이 41.3%로 가장 많았고 정년퇴직 비중은 9.6%에 그쳤다.

반면 50, 60대가 실질적으로 경제 활동을 끝내는 시기는 점점 늦어지고 있다. 소비 지출액이 근로 소득을 넘어서는 ‘소득 적자 전환’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19년 60세로 높아졌다. 또 완전히 경제 활동을 하지 않게 되는 실질 은퇴연령은 평균 72.3세로 국민연금 수령 연령(62세)보다 10년 이상 늦었다.

박지혜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연구원은 “노후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실질 은퇴 시기가 미뤄지고 있다”며 “안정적 노후를 위해 청·장년기 소득의 일부를 연금 자산으로 꾸준히 적립해야 한다”고 했다.

신지환 기자 jhshin93@donga.com

Read Previous

기표된 투표용지 수원서도 나와…선관위 “유효 처리”

Read Next

윤석열, 서울광장서 安·劉와 최종 유세… “국민이 내 정치세력”

Don`t cop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