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3대 천재 중 1인, 열악한 환경서 태어났지만… : 오피니언/칼럼 : 종교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서양 사람들의 이름은 우리네 이름과는 조금 다르다. 우리 이름은 성과 이름으로 단순한데, 서양 사람들의 이름은 세례명과 또는 존경하는 성인의 이름이나 성공한 가문의 이름을 덧붙이기 때문에 길고 동명이인도 많다. 르네상스 3대 천재 중 한 사람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도 다른 레오나르도와 혼동되는 것을 피하려 다 빈치(Da Vinci)라는, 태어난 마을 이름을 첨가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그는 설명이 필요 없는, 다방면에 특출난 천재였다. 데이비드 뱅크스는 ‘천재 과잉의 문제’라는 논문에서 인류 역사에서 나타났던 세 위대한 ‘천재 집단’을 추려냈다. 기원전 440-380년의 아테네와 1440-1490년의 피렌체, 그리고 1570-1640의 런던. 이 셋 중에서 가장 화려했고 풍부한 기록을 남긴 곳이 르네상스의 중심지 피렌체라고 했다. 당시 피렌체는 인구 7만 정도의, 그리 크지 않은 중세 도시국가였다. 그리고 정치적으로 열강들의 무수한 위협을 받아야 했다. 그런 평범한 도시에서 어떻게 그 많은 천재가 일시에 경쟁하듯 나타날 수 있었을까?

천재 중에 르네상스의 대표적 인물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출생한 마을을 알고 있다는 K의 안내로 빈치(Vinci) 마을을 찾아갔다. 그가 태어난 마을은 피렌체에서 가까운, 한적하고 작은 마을이었다. 토스카나 지방은 낮은 구릉으로 되어 있어 그림 같은 모습이었다. 그래서 많은 예술가나 사진작가들이 이곳을 즐겨 찾는다고 한다.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고 싶어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지 싶다.

레오나르도가 태어난 빈치라는 마을은 올리브 나무들로 둘러싸여 있는 작은 마을이었다. 이스라엘 감람산의 오래된 감람나무에 대해 안내자는 수령을 예측할 수 없다고 소개하는데, 이곳 감람나무들의 수령도 예사롭지 않게 보인다. 얼마나 많은지 가로수조차도 올리브 나무로 대신하고 있다. 빽빽하게 들어선 올리브 가지들을 헤쳐가며 구릉으로 난 길을 따라 오르니 작은 건물 하나가 오른편에 고즈넉하게 자리하고 있다.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낡은 창고 같은 건물이었다. 이 건물이 바로 레오나르도가 출생한 곳이라고 한다.

응접실의 페치카는 불을 피웠던 자국이 세월을 뛰어넘어 여전히 검게 그을린 모습을 고집하고 있었다. 이런 집에서 역사적인 천재가 태어났다는 점이 놀랍다. 이유는 이런 정도의 건물은 이태리 어디서나 볼 수 있기에, 그만큼 그에 버금가는 천재들이 태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순례객이 이곳을 보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태어났다면 나도 충분히 승산이 있어!”라고 주먹을 불끈 쥘 수 있겠다 싶다. 이 땅의 재능 있는 젊은이들이 환경이 좋지 않다고 꿈을 포기함으로 그 빛나는 가능성이 사장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을까! 이런 정황을 찬찬히 훑어본, 전남 장성의 깊은 시골에서 유학 왔다는 K는 말한다. “아따, 내 고향 마을보다도 못하구먼요, 생각보다 참 거시기하지라.”

다 빈치는 이 집에서 서자로 태어나 대학에 갈 수 없었기에 열네 살에 피렌체로 이주하여 베르끼오 공방에 들어갔다. 당시 그 공방에는 보티첼리가 있었다. 그는 그곳에서 28세 때부터 천재성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고, 이내 유명인이 되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그는 메디치 가문으로부터 신임을 받지 못하자 밀라노로 갔다. 코시모 데 메디치의 총애를 받는 보티첼리가 버티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 빈치는 밀라노에서 산타 마리아 그라치의 교회당(Santa Maria delle Grazie) 벽에 최후의 만찬을 그렸고, 나아가 모나리자를 그림으로 그의 천재성을 유감없이 나타냈다. 만일 메디치 가문의 코시모가 그를 붙잡았더라면, 모나리자는 프랑스의 루브르박물관 대신 피렌체의 우피치 박물관에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 빈치는 대상의 내면이 없는 그림은 죽은 것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언제나 표피적인 그림으로 만족하지 않고, 대상의 내면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을 끊임없이 괴롭혔다. 해부학에 매달리기도 했고, 목격자의 증언에 의하면 그가 최후의 만찬을 그릴 때 받침대 위에 올라가서 자신의 그림을 하루종일 뚫어지게 바라보곤 했다고 한다. 그는 그림의 윤곽을 분명하게 구분하는 대신 희미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창안했는데, 그것을 스푸마토(sfumato)라고 한다. 그것은 석회를 바르고 그것이 마르기 전에 그림을 그려, 하나의 형태가 다른 형태 속으로 뒤섞여 들어가면서 형성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림을 보는 이로 하여금 상상할 수 있는 여백을 갖도록 희미한 윤곽선과 스며든 부드러운 색채의 조화로움으로 여운을 남게 했다. 마치 모나리자의 눈과 입모습을 보는 이마다 해석을 달리하게 하는 것처럼 말이다.

당시의 모든 그림은 무엇인가 딱딱한 느낌을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런데 다 빈치는 얼굴에서 눈의 중요성을 깨닫고 거기에 강조점을 둠으로, 대상이 살아 있는 것 같고 영혼이 존재하는 것 같은 생생한 그림을 창안할 수 있었다. 그의 대표작 모나리자의 은은한 미소의 신비를 밝혀내기 위해 역사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깊은 관심을 가졌는지 모른다. 어떻게 한 사람이 그린 그림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 그 오랫동안 사람들이 달려들어야 했을까? 아마도 모나리자는 모든 여성이 닮고 싶어하는 구원(久遠)의 여인상이 아닌가 싶다. 아름답지만 함부로 다가갈 수 없는 위엄과 정숙함, 그리고 무언가 신비스러움을 간직한 모습이다.

순간의 아름다움을 붙잡아 그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게 만든 화가 레오나로도 다 빈치, 그는 이 일에 진력하느라 보통 사람이 누리는 가족의 기쁨도 포기해야 했다. 오로지 주어진 재능을 표출하는 일을 사랑하는 데도 시간이 모자랐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의 정신과 영혼을 통하여 탄생한 모나리자의 미소, 그 신비로운 미소를 통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다.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세요, 그것이 진정 행복한 길입니다.”

로마한인교회 한평우 목사 

Read Previous

尹, 국힘 워크숍서 “지나간 건 다 잊고 한몸 돼 뼈 빠지게 뛰겠다”

Read Next

10G .156→교체설→5안타 '무력시위', KBO 데뷔 후 최다 안타 작렬 테스형 "오늘 계기로 더 자신있게 임할 것"[창원 코멘트]

Don`t copy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