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지역 단체장들의 2021년 설날 축하 메시지 영상 2021 Lunar New Year Greeting Video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로부터 소송을 당한 일본기업들이 항소심에서 무대응으로 일관하자 법원이 서류를 공시 송달했다. 재판은 5월 시작된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민사합의33부(부장판사 구회근·박성윤·김유경)는 지난달 31일 송모 씨 등 강제동원 피해자 17명이 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기업 7곳을 상대로 낸 소송 항소심에서 공시송달 명령을 내렸다.
공시송달은 소송 서류를 전달할 수 없을 때 법원이 게시판이나 관보 등에 게재해 내용이 당사자에게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다. 재판부는 지난해 8월과 10월, 각각 재판을 열고자 했지만 일본 기업들에 소송 서류가 전달되지 않아 무산됐다.
재판부는 김모씨 등 63명이 미쓰비시를 상대로 제기한 다른 소송에 대해서도 공시송달을 명령하고, 두 사건의 첫 변론 기일을 5월 11일로 지정했다. 민사소송법상 공시송달은 실시 후 2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본기업들이 무대응으로 일관하더라도 법원은 서류가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판결을 내릴 수 있다.
송 씨 등이 제기한 소송은 1심에서 ‘피해자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낼 권한이 없다’며 대법원 판례와 달리 피해자들의 청구를 각하해 논란이 됐다. 반면 김 씨 등이 낸 소송은 1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받았다.
현재 국내 강제동원 소송 가운데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소송은 총 3건이며 나머지 67건은 각급 법원에 계류 중이다.
장하얀기자 jwhite@donga.com